분류 전체보기 (12) 썸네일형 리스트형 부적은 언제부터 사용됐을까? 한국 부적의 기원과 초기 역사 ‘부적(符籍)’은 한자로 ‘부(符)’는 부합할 부, ‘적(籍)’은 기록 적이라는 뜻을 가집니다. 한국에서 부적은 오래전부터 민간 신앙, 무속 신앙, 궁중 문화까지 폭넓게 퍼져 있었으며, 단순한 미신이 아닌 사회문화적 상징물로 기능해왔습니다. 📌 부적의 기원: 고대부터 전해지는 영적인 상징 한국에서 부적의 원형은 고대 제천 의식에서 시작됐다는 설이 많습니다. 삼국시대 이전의 부족 사회에서는 하늘에 제사 지내며 자연재해, 질병, 전쟁 등 외부 위협을 막기 위한 ‘상징물’을 만들었고, 이것이 후에 문자와 문양이 결합된 형태로 발전하며 부적이 되었다고 추정됩니다. 삼국시대에 접어들며 불교, 도교의 사상이 본격적으로 들어오고, 경.. 화경부적과 우리 할머니 인터넷을 돌아다니다 보면 부적에 대한 문의나 재회부적, 금전부적 홍보 글을 흔히 보게 된다. 하지만 대부분 비슷한 도안에 효과가 없다고 보면 되는 가짜 부적들이다. 그런 글을 볼 때마다 돌아가신 할머니 생각이 난다. 할머니는 지방에서 이름난 무당이셨고, 늘 부적을 손수 써주시곤 했다. 어릴 적 나는 할머니가 써준 부적을 가지고 다니는 게 창피했다. 친구들에게 들킬까, 이상하게 보일까 두려웠다. 하지만 할머니는 내게 늘 이렇게 말씀하셨다. "우리가 보는 세상이 전부는 아니다." 할머니의 부적을 몸에 지니고 있으면 이상하게도 따뜻하고 든든한 기운이 나를 감싸는 느낌이 들었다. 어린 나에게도 분명히 느껴졌던 신비한 보호의 힘이었다. 마을 사람들은 할머니가 쓰던 부적을 '화경부적'이라고 했다. 하늘의 기운과.. 이전 1 2 다음